십우도 The Ten Oxherding Pictures(2023)

 

십우도 The Ten Oxherding Pictures, 2023, 종이에 먹과 안료, Ink and pigment on Paper, Dia 27.5cm(10 pieces) (Frame 35x35cm)



곱창-대창

Dummy No.91, 2022,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Dummy No.95,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양-벌집양-천엽-막창

Dummy No.97,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Dummy No.98,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Dummy No.92,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Dummy No.96,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염통-선지&간-우설-콩팥

Dummy No.93,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Dummy No.94,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Dummy No.99,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Dummy No.100, 2023, 종이에 먹 Ink on Paper, 92x64cm (Frame 119x73cm)



흉 No.17 Scar No.17, 2023, 종이에 안료 Pigment on Paper, 51.5x64.6cm (Frame 66x75cm)





⟪의례를 위한 창자⟫ Intestine for Ritual, 2023, 아라리오 갤러리, 전시전경(사진제공: 아라리오 갤러리)


◎ 아래는 ⟪의례를 위한 창자⟫의 도록에 실린 인터뷰 중 일부를 발췌한 글입니다.



인터뷰어 : 아라리오갤러리 (이하 아) 인터뷰이 : 박웅규 작가 (이하 박)

 

아 : 안녕하세요. 박웅규 작가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박 : 안녕하세요. 그림을 그리는 박웅규라고 합니다. 동양화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회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아 :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어떤 이야기를 먼저 나눌까 고민하다 첫 미팅 때 오래 이야기 나누었던 ‘창자’가 가장 먼저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전시명 《의례를 위한 창자》에서 직접적으로 명시하듯 이번 전시에서 중요하게 자리하는 ‘창자’에 대한 설명과 전시 주제 에 대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박 :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은 동물의 내장, 특히 소의 내장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곱창, 대창, 양 등 우리가 가장 흔하게 먹 는 내장들을 그리고자 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내장 음식들을 기피해 왔습니다. 원래의 몸에서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던 장기들이 그 몸에서 분리되어 토막 나고, 먹기 좋게 요리되어 다른 몸으로 다시 들어간다는 것이 퍽 기분 나쁘게 느껴졌습니다. 게다가 다른 동물의 창자가 제 배 속의 창자로 들어온다는 사실이 너무나 이상한 일처럼 여겨졌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내장 음식들을 보며, 이런 저런 이유로 먹기를 거부해왔던 것 같습니다.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종종 먹게되는 일도 생기곤 합니다. 이내 곧. 후회하곤하지만, 무얼 먹어도 배가 부른 건. 매한가지입니다. 인간이 생존을위해 다른 생명체를 먹어야 한다는 건 지극히 당연한 일이기도 합니다. 저에겐 ‘내장 음식’과 ‘먹는’ 행위가 완전히 정 반대에 있는 무엇처럼 느껴졌습니다. 내장은 사체를 떠올리고, 먹는다는 것은 생존과 직결되니까요. 이번 전시에서는 내장과 그 내장을 먹는 것에 집중해 보고 싶었습니다. 

내장 음식은 저에게 부정성 그 자체입니다. 이번 연작에서 거기서 유발되는 부정성의 생김새를 추적하고, 그것을 절대적인 모습으로 다시 제시하고 싶었습니다. 저에게 저급한 것과 성스러운 것은 종종 혼재되어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나아가 부정성을 이해하고 소화해내는 제 나름의 방식을 구축하고 싶었습니다. 좀 더 정확히는 어떤 대상에게서 끊임없이 유발되는 좋거나 나쁜 감정 들에 대한 태도를 조형화 하는 과정입니다. 전시 명《의례를위한창자》는 순대를 제 나름대로 풀이한 제목입니다. 순대는 동물의 창자 속을 비우고, 껍데기 안에 여러 다른 속으로 다시 채워낸 음식입니다. 창자와 순대는 생김새는 비슷하지만, 역할과 기능은 전혀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창자는 장기이고, 순대는 음식이니까요. 어쩌면 순대란 재현된 유사-창자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창자를 순대로 만드는 일은 죽은 것을 되살려 내는 강령술 같은 것으로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아마 모든 음식이 그럴 것입니다. 그러나 그 대상이 창자와 같이 저급한 무엇일수록 그 의례의 간극과 효과는 커져만 갑니다. 

죽은 동물의 창자를 다른 무언가로 탈바꿈시키는 것, 즉 순대를 만드는 일은 마치 제가 부정한 것을 대하는 작업의 과정과도 유사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순대는 더 이상 창자가 아니지만, 여전히 창자의 껍질을 두르고 있다는 점에서 제 연작 <Dummy>와도 닮아 있습니다. 전시 명 《의례를 위한 창자》는 이러한 제 작업의 태도를 순대에 빗대어 풀어낸 제목이기도 합니다. 


아 : 이번 전시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십우도>(2023) 작업은 함께 선보이는 더미 시리즈의 주제와 특성들이 연계 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작품 십우도에 대한 작가님의 해석은 원작 십우도와는 다른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박 : <십우도>는 원래 존재하는 불교의 회화 양식을 제 방식으로 다시 그려낸 것입니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Dummy> 연작이 총 10점인 것도 <십우도>의 수에 맞춘 것입니다. 이번 <Dummy> 작업이 소의 내장들을 우상화하는 방식으로 그려낸 것이라면, <십우도>는 대상 자체보다 대상을 먹는 행위에 대해 집중하고 있습니다. 불교의 <십우도>는 소를 인간의 본성으로 비유하고, 그 소를 찾아 나서는 과정을 10단계로 그립니다. 저는 여기서 소를 찾아 그것을 먹고, 배설하고, 다시 다른 무엇으로 승화되는 모습으로 그려내고 싶었습니다. 

먹는다는 것은 생존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본능입니다. 하지만 다른 생명을 먹는다는 것은 동시에 죽음을 암시합니다. 그리고 더 이상 아무것도 먹지 않을 때는 죽음에 다다랐을 때 뿐입니다. 그래서 먹는다는 것은 생과 죽음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고, 그 자체로 양가적입니다. 언젠가 저의 친한 친구는 자신이 키우는 고양이가 너무 귀여워서 종종 깨물어 먹고 싶어질 때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그런 행동을 하지않는다 하더라도, 너무 사랑하는 대상을 향해 종종 그릇된 충동을 느끼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우리는 꼭 생존을 위해서만 먹지는 않습니다. 생존을 위해 꼭 징그러운 내장 음식을 먹지 않아도 되지만 우리는 그것을 종종 즐겨먹기도 합니다. 그것이 혐오스러운 음식이든, 너무나 사랑하는 대상이든, 어쩌면 먹고자 하는 욕구란 대상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가장 극단적이고 폭력적인 함의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십우도>에서 그런 복잡한 생각들을 조금은 가벼운 방식으로 풀어내고 싶었습니다. 일본의 15세기 화가 텐쇼 슈분(天章周文)의 <십우도>를 참고한 작업입니다. 


아 : 작가님의 작품은 작은 디테일적인 표현부터 단순하지만 명확하게 드러나는 전체적 형상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작품의 감상이 이루어지는 것 같습니다. 작업 과정에서 어떤 점을 중점에 두고 그리는 지 궁금합니다. 또 대상을 그릴 때 어떤 것을 그리고 탈각하는지 그 기준과 과정도 궁금합니다. 

박 : 보통 연 단위로 다른 소재와 형식으로 연작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연작마다 그 안에서 고유한 규칙들을 설정하고 이를 수행하고자  애씁니다. 예를 들어 2021년 십팔나방(Dummy No. 63~80)의 경우 나방을 마주했 던 복잡한 감각을 중립-정-부정의 방식으로 세분화하여 그려냈습니다. 여기서 정-부정을 하나의 조형적 질서로 규정하고 나방의 시각성을 정형-비정형의 방식으로 재구성하고자 했습니다. 또 2022년 귀불(Dummy No. 81~90)의 경우 고전 불화에서 감응하는 부분을 6가지의 조형 방식(의태, 구도, 형태, 질감, 변용, 응용)에 집중하여 그려낸 작업입니다. 그리고 이번 신작 <Dummy No. 91~100>은 소의 각 내장 부위에서 보이는 조형적 특이점들을 중심으로 다시 형상을 조물 한 것입니다. 이를테면 곱창에서 보이는 길쭉한 형태의 관들을 가지고 다시 새로운 구조로 만들거나, 천엽에서 보이는 돌기 난 표면에서 연상되는 것을 다른 형태로 재구성하는 것 등입니다. 이것은 창자가 순대가 되는 것처럼, 토막 난 식재료를 가지고 새로운 무엇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연작마다 고유의 다른 질서들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 공통으로 그것들은 매우 패턴화되어 있거나 대칭을 이루고, 수많은 원이나 도상이 반복되는 등 강박적인 모습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질서의 방법은 대부분 과거 종교의 것이나, 종교가 되어버린 것들에서 참고합니다. 어떤 특정 종교에 관해 알지 못하더라도, 너무나 기나긴 시간 동안 반복되고 재생산된 형식들은 지금도 여전히 그 힘을 발휘할 때가 있습니다. 우리가 가톨릭을 몰라도 삼위일체를 알고 있는 것 처럼요. 그리고 그러한 특정한 수, 도상, 형식들은 현재 대중문화에서도 전혀 다른 맥락으로 수없이 많이 재현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일정 부분 유사한 힘을 발휘합니다. 그게 마치 허물이 나 유령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제 작업은 대상에게서 유발되는 부정성의 질감을 단단하고 엄숙한 방식의 형태에 새겨 넣는 것입니다. 이것은 앞서 이야기했듯 부정한 것과 그 반대되는 것을 이해하고 질서화하려는 제 나름의 방식입니다. 


nterviewer : Araio Gallery (Hearafter, A) Interviewee : PARK Wunggyu (Hearafter, PARK) 


A : Hello, please introduce yourself. 

Park : Hello, My name is Park Wunggyu, and I am a painter. I work with painting mediums based on oriental painting. 


A : While preparing for the interview, I was thinking about which story to share first, and the first thing that came to mind was the story of "The Intestines" that we talked about during our first meeting. As the exhibition's name "Intestine for Ritual" directly implies, please explain the important "The Intestines" in this exhibition, and the theme of the exhibition. 

Park : The works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is based on animal intestines, especially those of oxen. I wanted to draw the intestines we eat most commonly, such as gopchang(small intestine), daechang(large instestine), and lamb. I have been avoiding intestinal foods since my childhood.
It felt very unpleasant that the organs that performed their respective functions in the original body were separated from the body, cut into pieces, cooked for food, and then put back into another body. Besides, it seemed so strange that the intestines of other animals came into my stomach. I think I have been watching gut foods since I was a kid, and refusing to eat for one reason or another. However, in some situations, it is often eaten. I soon regret it, but it is the same thing that I am full no matter what I eat. It is only natural that humans have to eat other living things to survive. To me, ‘internal food’ and the act of ‘eating’ felt like something completely opposite. The intestines remind me of the corpse, and eating them is directly related to survival. In this exhibition, I wanted to focus on intestines and eating them. 

Intestine food is the embodiment of negativity for me. In this series, I wanted to trace the manifestation of negativity that is induced by offal, and present it again in an absolute form. To me, the lowly and the sacred often coexist. I wanted to go further and build my own way of understanding this negativity. More precisely, it's a process of shaping the attitude towards the continuous good and bad emotions elicited by a certain subject.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ntestine for Ritual" is my interpretation of “Sundae” a Korean blood sausage. Sundae is a food in which the intestines of an animal are emptied and the shell is refilled with different fillings. Although intestines and sundaes look similar, their roles and functions are completely different. Basically, intestines are organs, and sundae is food. I thought that sundae could be a reproduced imitation of intestines. Making intestines into sundae felt like a form of necromancy, bringing the dead back to life. Perhaps all the food is like that. However, the more lowly the object, like intestines, the greater the gap and impact of the ritual. 

Transforming the intestines of a dead animal into something else, that is, making sundae, seemed similar to the process of my work dealing with the unclean. Especially, sundae is no longer an intestine, but it still wears the shell of the intestine, which is similar to my Dummy series. The exhibition title "Intestine for Ritual" further exemplifies my artistic approach by drawing a parallel between it and sundae. 


A : I thing that the them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ummy series are linked to the new work The Ten Oxherding Pictures (2023), which is being unveiled at this exhibition. Your interpretation of the work The Ten Oxherding Pictures seems like it would differ from the original 'Sibudo' (十牛圖, Ten Ox-Herding Pictures), could you explain in detail? 

Park : The Ten Oxherding Pictures is a reinterpretation of an existing Buddhist painting style in my own way. The fact that the Dummy series,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consists of a total of 10 pieces is also matched to the 

to the number in The Ten Oxherding Pictures. If the Dummy work is depicted in a way that idolizes the bovine entrails, The Ten Oxherding Pictures focuses more on the act of eating the subject rather than the subject itself. The Buddhist 'Sibu do' uses the ox as a metaphor for human nature and depicts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ox in ten stages. I wanted to depict the act of finding the ox, eating it, excreting it, and sublimating it into something else. 

Eating is an indispensable instinct for survival. But eating another life implies the death of either side. And it's only when you're close to death that you don't eat anything anymore. So eating implies both life and death, and it's ambivalent in itself.
One day, a close friend of mine said that her cats are so cute that she often wants to bite them off. Even if we do not actually do so, it is common to often feel the wrong impulse towards the object we love too much. We don't necessarily eat to survive. You don't have to eat gross intestinal food to survive, but we often enjoy it. Whether it is food that I hate or an object that I love so much, I thought that the desire to eat might be the most extreme and violent implication to be one with the object. 

In The Ten Oxherding Pictures, I wanted to express those complicated thoughts in a slightly lighter way. This is a reference to a Japanese 15th-century painter Tenshō Shūbun (天章周文) <十牛圖, Ten Ox-Herd- ing Pictures>. 


A : Your work seems to be appreciated by examining the overall shape that is simple but clearly revealed, starting from the small, detailed expressions. I'm curious about what you consider important while you're working on your art. Additionally, I'm interested in your criteria and process when it comes to depicting subjects what do you choose to draw, and what aspects do you decide to exclude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Park : usually continue my series of works with different materials and formats on a yearly basis. Therefore, each series of works sets its own rules and strives to carry them out. For instance, in 2021, for the series of '18 Moth' (Dummy No. 63~80), I captured the complex sensation of encountering a moth by breaking it down and depicting it in a neutral-positive-negative manner. Here, positive and negative are defined as a formative order, and the moth's visuality is reconstructed in a formal-informal way. In addition, in the case of Dummy No. 81~90 in 2022, it is a work that focuses on six categories based aesthetic viewpoints (Imitation, composition, form, texture, transformation, and application) that are sensitive to classical Buddhist paintings. And this new work Dummy No. 91~100 is a reconstructed form centering on the formative singularities seen in each internal part of the ox. For example, making a new structure with the elongated tubes seen in Gopchang, or reconstructing what is associated with the projecting surface seen in celestial leaves into a different form. Just as intestines become Sundae, I wanted to make something new with chopped ingredients. 

While each series has its own unique set of orders, most commonly, they are highly patterned or symmetrical, and they exhibit an obsessive quality with numerous circles or figures repeating. This method of order is mostly referenced in things that have become religions in the past, or have become religions. Even if you don't know about any particular religion, there are times when the forms that have been repeated and re- produced for so long still exert their power. Just like we know the Trinity even if we don't know Catholicism. And even though those particular numbers, images, and forms are now being reproduced countless times in a totally different context in current popular culture, they still exert some similar power. I thought it was like a shell or a ghost. 

My work is to carve the texture of negativity evoked from the object into a solid and solemn form. As mentioned earlier, this is my own way of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negative elements' and their opposites.